언론보도
언론보도

[서울신문] 안평대군의 이상향 찾아 몽유도원도를 추적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3-11-01 00:00 조회1,292회 댓글0건

본문



안평대군 이용(李瑢)은 1418년 9월 19일 창덕궁에서 태어났다. 8월 11일 세종이 경복궁 근정전에서 즉위한 지 한 달여 만이다.




안평대군은 20대 초반부터 시서화 삼절(三絶)에 비유됐다. 문인으로서 그 학문의 사상을 반영하는 것이 시와 문장이라면 문인의 품격과 수양을 나타내는 것이 글씨이다. 문인은 또한 글로써 다할 수 없는 내면의 감정과 정취를 그림으로 표현했다.



그래서 시서화 모두에서 최고의 정신적·심미적 수준에 도달한 문인은 시서화 삼절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이처럼 안평대군은 세종 때 시문학의 흐름을 주도했다. 또한 이런 분위기를 함께 이끌어 간 인물이 바로 화가 안견이다.



세종뿐만 아니라 안평대군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았던 안견은 안평대군을 위해 많은 그림을 그렸고 시서화 삼절의 명작을 다수 탄생시켰다. 안견은 조선시대 최초로 도화원 화원의 최고 품계인 정6품의 한계를 깨고 정4품에 오른 대화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반이 아닌 화공의 신분인지라 그의 가계나 인적사항 등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하지만 불후의 명작, 현실과 꿈의 세계가 물결치듯 흘러가는 한 폭의 환상적인 산수화 ‘몽유도원도’를 남겼다.





안평대군이 무릉도원을 몽유하는 시작은 이렇다. ‘1447년 4월 20일 밤이었다. 어디인지 알 수 없는 봄날의 숲속이었다. 아득히 첩첩 거산의 봉우리가 하늘에 솟아 있고 가까이는 여기저기 복사나무가 한가로이 꽃을 피운 나지막한 야산이 이어져 있었다.’(본문 114쪽)



이 같은 꿈 내용을 안견에게 이야기했고 안견은 3일 만에 ‘몽유도원도’를 완성했다. 이 서화는 계유정난(1453년) 때 안평대군이 희생되면서 함께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그러다가 1893년 일본에 다시 등장했고 1950년 덴리(天理) 대학이 소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신간 ‘사라진 몽유도원도를 찾아서’는 우리 회화 사상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 ‘몽유도원도’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으며 어떻게 해서 역사의 물결을 타고 유랑하게 됐는지 그 흔적을 찾아 나선다. 꿈의 주인인 안평대군의 삶과 문화적 이상을 추적해 그림에 담긴 의도를 흥미롭게 밝혀내고 있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