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책&생각] ‘퀴어’의 눈으로 본 한국 근현대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산처럼
작성일23-02-23 10:37
조회412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식민주의·발전주의 역사 속 비규범적 존재
주체의 경험에 초점 둔 LGBTI 연구
주변화된 존재들이 드러내는 체제 모순
신자유주의 시대 퀴어는 무엇을 말하나
주체의 경험에 초점 둔 LGBTI 연구
주변화된 존재들이 드러내는 체제 모순
신자유주의 시대 퀴어는 무엇을 말하나
한현모 감독의 영화 <질투>(1960)의 한 장면. <퀴어 코리아>는 ‘게이는 없다’ 신화를 깨뜨리고 한국 근현대사에서 주변화된 성적 주체들의 다양한 양태와 의미를 톺아본다. 한국영상자료원 자료. 산처럼 제공
주변화된 성적 주체들의 한국 근현대사
토드 에이(A). 헨리 편저, 성소수자 대학원생/신진연구자 네트워크 옮김 l 산처럼 l 3만5000원1990년대 말 한국어 공부차 한국에 왔던 역사학자 토드 헨리(미국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 역사학과 교수)는 당시 “한국에는 동성애자가 없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고 한다. 물론 금세 그것이 터무니없는 주장이라는 것을 알았지만. 이런 ‘노 게이 신화’(no gay myth)가 발화될 정도로 한국 사회에 만연한 ‘퀴어 무지’의 배경에는 성소수자의 경험을 더욱 주변화시켰던 한국 사회의 고유한 맥락이 있다.토드 헨리가 엮고 다양한 학제에서 연구 활동을 하는 성수소자 연구자와 성소수자 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의 모임 ‘성소수자 대학원생/신진연구자 네트워크’가 우리말로 옮긴 <퀴어 코리아>는 “한국 근대성의 비자유주의적 밑바닥”에서 “비규범적 섹슈얼리티와 젠더 변이의 실천이 어떻게 지속해서 무시되거나 잊혀왔는지” 톺아보는 책이다. 일제강점기와 후기 식민주의적 권위주의 시대를 지나온 한국 사회에서 ‘규율할 수 없는’ 것들, 곧 ‘퀴어성’은 압도적인 규범성 아래에 짓눌려 무시되어 왔다. 그러나 어느 시대에나 규율할 수 없는 주체들은 나름의 방식으로 스스로를 드러냈고, ‘정상성’을 강요하는 권력과 벌여온 이들의 끊임없는 줄다리기는 한반도의 모든 주민을 짓누르는 모순적인 구조에 대해 비판적 통찰을 제공한다. 듀크대에서 펴내는 ‘비뚤어진 근대성들’ 시리즈의 하나로 출간됐다.
이성애규범성을 앞세워 동성 부부의 사례와 사진을 실은 <동아일보> 1965년 4월2일치 신문. 산처럼 제공
동성 부부의 공개 결혼식 사진을 실은 <주간한국> 1970년 9월27일치 지면. 당시 언론은 동성 결혼을 관음증적 시선으로 이성애규범적으로 ‘교훈’하는 방식으로 다룸으로써 “퀴어를 착취”했다. 산처럼 제공
코미디언 구봉서가 여장한 기생으로 나오는 영화 <남자(와) 기생>(1968)의 홍보 포스터. 산처럼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