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언론보도

[서울신문] 시조는 위인, 사라진 후손… 나는? 한국인들에게 족보의 의미를 묻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4-09-01 00:00 조회1,596회 댓글0건

본문



2008년 9월 7일 서울 충무로의 옛 대한극장. 이곳에서 30년 만에 재개봉한 영화 한 편이 세간의 눈길을 끌었다. 1978년 임권택 감독이 만든 영화 ‘족보’로, 처음 개봉했을 당시 대성황을 이뤘던 작품이다. 유년기를 서울에서 보낸 일본작가 가지야마 도시유키의 동명소설을 영화한 것으로 ‘창씨개명’을 소재로 한민족의 씨족과 족보에 대한 자긍심을 섬세한 필치로 담아냈다. “차라리 내 성을 갈겠다”는 말에 담긴 역설적 비장함과 잇닿은 영화였다고 할까.



그렇다면 족보는 과연 믿을 만한 것일까. 또 우리는 족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국사편찬위원회 연구편찬실장을 지낸 저자는 이제 족보에 관한 진실의 종을 울릴 때라고 말한다.



현재 남한 인구를 4900만명으로 잡으면 이 중 가야계와 신라계를 포함한 김씨는 1000만명에 이른다. 아울러 박씨가 340만명, 전주 이씨가 260만명을 헤아린다. 전체 인구의 3분의1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들의 직계 선조를 거슬러 올라가다 10세기 전후 살았던 인물을 찾아보면 박씨는 경명왕, 신라계 김씨는 경순왕, 가야계 김씨는 김상좌, 전주 이씨는 이긍휴로 연결된다. 이들이 살았을 당시 인구가 50만~100만명으로 추산되는데 이들 4명 외에는 대부분 자손을 거의 두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이를 놓고 미국 캘리포니아대 어바인캠퍼스의 유진 Y 박 교수는 “우리 조상에 대한 ‘집단기억’은 출발부터 명백한 오류에 빠져 있다”고 논문을 통해 ‘돌직구’를 날린 바 있다. 누구도 자신의 성과 본관, 조상에 대해 의심해 보려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저자에 따르면 한국인의 역사에서 족보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15세기다. 그러나 실제적인 기점은 17세기 후반이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족보는 18세기에 들어서야 완성된 형태로 자리 잡았다고 주장한다. 또 초기 족보는 외손 당대만이 아니라 외손의 외손으로 한없이 이어지는 외후손을 족보에 차별 없이 등재해 동등한 가족의 지위를 부여했다. 초기 족보는 아예 8촌 안팎만 기록해 지금 전해지는 족보들은 후대에 서로 ‘짜깁기’한 것이란 설명도 덧붙였다.





게다가 요즘 족보를 보면 해당 씨족 중 맨 꼭대기에 있는 시조는 역사상 이름난 인물뿐이다. 저자는 시조가 실은 처음부터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일정 세월이 흐른 뒤 후손들이 추대해 넣은 인물이라고 정의한다. 본관이 된 지역에 먼저 자리 잡은 일족이 있더라도 시조가 되는 행운을 누린 사람은 단 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 점이 중국과 다른 점이다. 중국의 시조는 돗자리 짜던 사람이나 두부를 만들어 팔던 사람인 경우도 허다하다. 반면 유명한 인물의 후손임을 자처하는 이들에 의해 형성·발전돼 온 우리의 씨족제는 이를 왜곡시켰다. 역적으로 몰려 멸족당했다는 특정 본관의 성씨가 어느 시기 갑자기 불어나기도 했다.



예컨대 19세기 한양의 중인 가문 가계를 기록한 ‘성원록’에는 50개 가문이 나오지만 이 중 31개(62%)는 현재 성씨 통계에 잡히지 않는다. 이 가문의 후손이 성씨는 놔둔 채 간단히 본관만 바꿔 세도가에 편입된 사례가 많았다. 일부 양민은 군역 등을 면제받기 위해 양반의 판정 근거가 되는 위조된 족보를 사들이기도 했다.



이처럼 저자는 족보를 둘러싼 사회문화 현상, 족보의 허상과 실재 등을 두루 살펴본다. 족보가 단순한 생물학적 계보를 추적한 것이 아니라 당대의 사회현상을 반영한 결과물이라며, 집단정체성을 대변하는 족보는 이제 문화적 기억으로 되살아나야 한다고 역설한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